평화로 가는 길 展

2년 전 마포구 연남동의 한 갤러리에서 우연히 북한 출신 선무의 작품을 처음 만났다. 전시장 입구에 놓인 붉은색의 북한 선전 문구는 반공교육을 받았던 나의 시선을 자극해 잠시 주춤거리게 만들었다. 조심스레 전시장을 둘러보는 내내 자신의 자유와 평화를 갈구하며 작업했을 그의 작품은 갤러리 전체를 서늘하게 만들 만큼 강렬했다. 자신이 경험한 두 체제를 향한 비판이 작품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는 붉은 기운이 흐르는 작품을 보면서 어느새 '선무'라는 작가에게 호기심이 생겼다.

이번 함석헌 탄생 120주년 전시를 기획하며 씨ᄋᆞᆯ의 인권과 자유, 평화를 위해 역동적으로 살다 간 인권운동가의 정신이 깃든 함석헌 기념관에서 남과 북의 경계선에 서 있는 작가의 치열한 삶과 평화에 대한 염원이 담긴 작품을 전시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 그를 찾았다.

강렬한 그의 작품으로 먼저 만났던 선무 작가와 미팅을 위해 작업실로 찾아가던 날을 선명하게 기억한다. '북한 출신'이라는 것에 선입견으로 긴장한 채 만난 그는 선글라스를 벗고 온화한 눈빛을 보여주며 긴장을 풀어주었다. 처음에는 약간의 차가움과 경계심을 느낄 수 있었는데 대화를 나누며 그에게서 순박함을 읽었다. 이후 작업실에서 몇 차례 만나 치열하게 살아내 온 자전적 스토리가 담긴 선무의 작품을 보면서 평화를 원하는 그의 염원과 마주할 수 있었고 우리 역사의 비극이 현재 진행형인 이 시대의 이야기라는 사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

북한을 탈출해서 남한으로 오기까지의 힘든 여정과 남한에 살고 있지만, 북한에서 태어나 자란 선무의 정체성이 곳곳에 드러나는 작품 중 판문점에서 남측 경계선과 북측 경계선을 두 정상이 손을 맞잡고 건너가던 역사적인 순간이 담긴 작품을 통해 자유와 평화를 원하는 우리의 간절함을 엿볼 수 있었다.

민주주의의 상징이 된 촛불집회, 두고 온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남북 교류에 대한 염원을 연 속에 담아 날려 보내는 종이 작품과 그리운 남과 북의 가족이 상봉하여 환하게 미소 짓는 작품을 통해 우리 역사의 비극에 대해 돌아보고 씨ᄋᆞᆯ의 자유와 평화가 남과 북의 절실한 과제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번 전시에서는 씨ᄋᆞᆯ의 인권과 평화를 위해 거침없이 행동했던 함석헌 선생의 정신이 담긴 말꽃(어록)을 혼란스러운 삶을 감내하고 있는 작가의 힘 있는 필체로 만날 수 있어 반가웠다.

평화'는 어떤 경우라도 우리의 일상과 떼어놓을 수 없는 중요한 화두다. 잠시 훈기가 돌았던 남북 정세도 차갑게 얼어버렸고, 지속되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일상의 평화를 잃어버린 지 오래다. 그렇지만 우리는 어떤 경우라도 또 희망을 놓지 않는다.

남북통일의 염원이 담긴 탈북 작가 선무의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이 전시를 통해 남북의 평화와 일상의 평화를 찾으며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는 행진에 그 이정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윤채원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표현한 경계 | 탈북화가의 꿈 《내게 날개가 있다면:선무》

지난 11월 29일 막을 내린 탈북화가 선무의 개인전, ‘내게 날개가 있다면’. 크리에이터 수빈이가 세 가지 키워드로 나눠 전시를 둘러보고 왔습니다!

선무의 그림은 영상으로 더 자세히 만나보세요:)

프로듀서 김지혜 / 편집·CG 김지혜 민지영 이수빈 / 촬영 김정용 / 크리에이터 이수빈


‘1호 탈북 화가’의 꿈 “내게 날개가 있다면…”

[앵커]

주말 앤 문화 시간입니다.

북한을 떠나 얼굴과 본명을 감춘 채 묵묵히 그림을 그려온 화가가 있습니다. ​

한때 남과 북 어디에서도 환영 받지 못했던 그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갈망을 강렬한 색채로 표현하는데요.

'1호 탈북 화가' 선무의 작품세계, 김지선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타오르듯 붉은 강 위로 빼꼼히 내민 얼굴.

두만강을 넘어 남쪽으로 내려오며 느꼈던 극한의 두려움이 담겼습니다.

두고 온 고향을 향한 그리움은 화폭에 가득 담아봐도 채워지지 않습니다.

어린 시절 친구들.

그리고 어머니, 내 어머니….

북한을 떠나 중국, 라오스를 거쳐 한국에 정착한 화가 '선무'에게 평화는 숙명과도 같은 주제입니다.

[선무/화가 : "편지가 북쪽으로 가야 되는데 갈 수 없는 현재 남북의 상황, 평화적인 해결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인데..."]

사상 첫 남북미 판문점 회동의 주역들.

평화가 성큼 다가오나 싶었지만, 쉽게 풀리지 않는 그 매듭을, 작품으로 표현했습니다.

[선무/화가 : "남북이 풀기에는 너무 힘든 매듭이 돼 있고 여러 나라가 같이 움직여야 가능한, 그 매듭이 풀리기를 바라는, 이 땅에 봄이 오기를 바라는..."]

한때는 남과 북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첫 전시회 땐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아야 했고, 중국에선 북한의 반대로 공안이 작품을 압수해 개인전이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강성은/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학예실장 : "(선무의 작품은) 이념의 대립을 부추기는 작업보다는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고자 하는 바람을 담은 작업들이 많습니다."]

미래 세대인 우리 아이들만큼은 이념의 벽을 넘어 함께 뛰놀 수 있기를, 말이 통하는 그 누구라도 남과 북의 소주를 나란히 놓고 한 잔 할 수 있기를, 그 소박하지만 쉽지 않은 꿈을 위해 작가는 그리는 일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합니다.

[선무/화가 : "북한에서는 조선화라고 하죠? 그걸 더 예쁘고, 하지만 의미 있게 그런 식으로 한 번 해볼까 궁리 중이면서 지금 시작한 거죠."]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한효정


내게 날개가 있다면 展

내게 날개가 있다면 ● 얼굴 없는 작가 선무를 만난 지도 12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나갔다. 가깝고도 먼 북한이란 곳에서 왔다는 선입견이 있어서인지 첫 만남에서 본 그의 인상과 몸짓에서 무언가 형언할 수 없는 강한 표현과 어색함이 함께 했다. 그의 행동은 격이 없고 솔직해 보였다. 그래서 숨김이 없지만 그 속에 보이지 않는 불안함이 존재했다. 그가 보여주는 작품 또한 특이하고 강한 표현과 색감으로 그의 내면과 외면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듯했다. 때로 우리가 유화 앞에 서면 테라핀과 린시드 오일의 교묘한 조화가 코를 찌르고 사람을 어지럽게 만든다. 나는 이렇게 여름날 처음 접한 옥탑방 작업실에서 첩첩 쌓아 올려진 많은 작품 앞에서 바로 이러한 현기증이 일어난 기억이 생생하다. 빨간색 속에 그려진 더 짙은 빨간색, 파란색 속에 그려진 더 짙은 파란색이 보여주는 상징성은 그의 작업에 베인 강렬함과 독특한 불안함과 더불어 시각적 현기증을 만들어낸 것으로 기억된다. 당시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그의 시간의 흔적이 나타나는 작품을 한곳에 모아 놓은 전시를 상상해 본 적이 있었다.

빼앗긴 것과 기억되는 것 ● 내가 독일 유학 시절 베를린 남쪽 달렘에 위치한 아시아 예술 박물관을 방문한 적이 있다. 이곳에는 인도의 예술부터 동아시아의 고전미술 그리고 현대미술까지 다양하게 전시되어 있었다. 일본이 조선 침략기 때 약탈한 도자기와 소품의 존재를 보고 놀라웠고, 또 한 전시관에 놓인 중국에서 빼앗아 온 어마어마한 규모의 절반만 전시된 석조조각 동굴을 보면서 정말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박물관 관장은 실제로 중국을 가서 나머지 동굴의 절반을 보고 왔다고 했고, 그때 그가 가져야 했던 약탈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수치심을 아직 잊을 수 없다고 했다. ● 선무의 작품 속에는 절반의 완성이 존재한다. 이 절반의 완성이 작품의 어색함을 느낄 수 있는 그 이유의 부연설명이다. 식민지 시대의 약탈당한 절반 속에는 내가 모르는 북한에서 배운 역사교육과 그의 중국과 한국에서의 생활이 연장된 기억이 생생히 담겨 있다. 그렇다. 그가 보는 남북은 주변 강대국으로부터 약탈당한 역사이다. 그래서 그가 가진 기억을 역사 속에서 멈추지 않고 개인의 기억으로 시각화하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멈출 수 없는 것이 그의 운명이다. 이는 이데올로기라는 독을 마시고 살아남기 위해 꿈틀거리는 물고기와 같지 않을까 상상해 보라.

내게 날개가 있다면 ● 저 하늘의 새들도 국경이 있을까? / 이데올로기가 있을까? / 중국사람, 미국사랑 / 독일사람, 프랑스 사람... / 지구에 사는 사람들 다 만날 수 있는데 / 오직 남북의 형제들만 만날 수가 없구나 / 오천년 력사에 이게 원말이더냐 / 내게 날개가 있다면 / 저 산과 강을 넘어 / 그리운 얼굴들을 만나리라 - 2020.9.21 남녁땅에서 선무 ● '내게 날개가 있다면' 그는 당장 어딘가로 날라 갈 것이다. 어디일까? 부모가 있는 고향일까, 몰래 파는 담배를 피우면서, 그곳의 자유로움을 느끼는 북쪽 고향 주변 어느 한 곳일까? 이번 전시는 그간의 기억과 빼앗긴 절반을 채워내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 선무는 전시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무언가 모를 보이지 않은 족쇄 같은 것이 느껴진다고 말한다. 사연을 모르는 누구는 북한을 떠났는데 어떻게 그런 생각이 들까라고 의구심이 들지도 모른다. 그에게는 어느 쪽이 악마이고 어느 쪽이 천사 같은 존재가 아니다. 남북은 그저 그에게 빼앗긴 반과 반일뿐이다. 그리고 그가 버릴 수 없는 고향이다. 그래서 경험한 이 반과 반을 더욱 솔직히 작품으로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 욕망이 그에게 본연적으로 존재한다.

선무는 이러한 동기를 가지고 한국에 와서 생활한 18년 동안 못다한 진솔한 이야기를 작품으로 담아내고자 한다. 그동안 정치 포스터와 같은 선동적인 방식으로 표현했다면 이번 전시에는 조선화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조선화 기법은 선무가 어린 시절부터 끄적이며 그려왔던 노스텔지어를 되살리는 기법이다. 그리스어 노스텔지어는 귀환의 의미를 담는 노스토스(nostos)와 괴로움의 뜻을 담는 알고스(algos)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이다. 향수가 가진 의미처럼 선무는 그리움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돌아갈 수 없는 번뇌의 삶이 연속된다. ● 최근 더욱 과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아마도 COVID-19가 가져다준 고립 속에서 기억의 되새김이 그 원인지지 않을까 한다. 그렇지만 코로나라는 바이러스가 그의 손끝의 움직임을 멈추지 못했다. 오히려 더욱 이 고립 속에서 뛰쳐나가려고 애쓰며 발버둥 친다. 이러한 자유를 향한 치열한 몸부림과 붓질은 어쩌면 선무가 가진 숙명인지 모른다. ■ 유재현


Sun Mu bereitet nun eine Ausstellung vor an der Grenze von Nord- und Südkorea.

[▶Watch video]

Vor 2 Jahren zeigte SUN MU seine im Parkhaus entstandenen Arbeiten. Sun Mu stellte im letzten Jahr im Kunstraum München aus. Kennengelernt habe ich Sun Mu durch Jun-Ho Park, bei dem Sun Mu 6 Wochen lebte und arbeitete und ich entschloss mich damals spontan, Sun Mu das Parkhaus als Arbeits- und Ausstellungsraum zur Verfügung zu stellen. Zur Zeit sind Arbeiten von Jun-Ho Park im Parkhaus zu sehen. Heute ist Finissage von 14 - 18 Uhr. Herzliche Einladung.

Karl Heinz Rummeny